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Test
- java
- select_type
- Exception
- jpa
- 테스트 코드
- docker
- StringBuilder
- KEVISS
- static
- equals
- 열 속성
- DDL
- 조합
- lambda
- 필드 주입
- 인덱스
- AOP
- jwt
- DI
- VUE
- redis
- stream
- cache
- SQL
- 재정의
- MSA
- Spring
- 생성자 주입
- hashcode
Archives
- Today
- Total
백엔드 개발자 블로그
Scale-Up 과 Scale-Out 본문
스케일 업과 스케일 아웃은 인프라 확장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이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이용자가 증가하거나 사업을 확장 할 때 많은 서버 용량과 성능이 필요하게 되는데,
'스케일 업'과 '스케일 아웃'으로 인프라 확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케일 업(Scale-Up)
스케일 업은 기존 서버의 HW(CPU나 RAM 등)를 업그레이드해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하나의 서버의 사양을 업그레이드 하기 때문에 수직 스케일로 불리기도 한다.
스케일 아웃(Scale-Out)
스케일 아웃은 서버를 추가하여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을 말한다.
서버가 여러 대로 나뉘기 때문에 각 서버에 걸리는 부하를 균등하게 해주는 '로드밸런싱'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
이처럼 여러 대의 서버로 나눠 시스템을 확장하기 때문에 수평 스케일로 불리기도 한다.
출처 :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10-12-scale-up-scale-out/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큰 기반 인증 vs 서버 기반 인증 (0) | 2023.08.30 |
---|---|
렌더링 (0) | 2023.08.30 |
Serverless란? (0) | 2023.08.30 |
클라우드 컴퓨팅 (0) | 2023.08.30 |
REST API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