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pring
- stream
- 필드 주입
- redis
- jwt
- 바이너리 카운팅
- MSA
- docker
- 인덱스
- hashcode
- DDL
- Test
- cache
- 재정의
- equals
- select_type
- VUE
- DI
- lambda
- KEVISS
- 테스트 코드
- 조합
- AOP
- jpa
- SQL
- StringBuilder
- 생성자 주입
- 열 속성
- java
- static
- Today
- Total
목록ORM/JPA (2)
백엔드 개발자 블로그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해 알아보자 https://ultrakain.gitbooks.io/jpa/content/chapter3/chapter3.4.html영속성 컨텍스트란?Server와 Database 사이에 엔티티를 저장하는 논리적인 영역이다.엔티티 매니저로 엔티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면 엔티티 매니저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엔티티를 보관하고 관리한다.영속성 컨텍스트는 엔티티 매니저(Session)를 생성할 때 하나 만들어진다. 그리고 엔티티 매니저(Session)을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고 영속성 컨텍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장점1차 캐시Map 구조에 저장 : key = @Id 값, value = EntityQ1. 1차 캐시를 사용하면 한 가지 기능을 두개의 트랜잭션으로 처리할 경우?OSIV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3wV8I/btsHgeXXM1I/NA7bHz6u06OU4NiNZe6xw1/img.png)
JPA N+1 문제에 대해 알아보자N+1 문제란?연관 관계에서 발생하는 이슈로 연관 관계가 설정된 엔티티를 조회할 경우에 조회된 데이터 갯수(n) 만큼 연관관계의 조회 쿼리가 추가로 발생하여 데이터를 읽어오게 된다. 이를 N+1 문제라고 한다. 그러면 실제로 어느 경우에 발생하는지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자.엔티티 설정코드는 단순하다. 고양이와 고양이 집사의 관계를 표현해보겠다.고양이 집사는 여러 마리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다.고양이는 한 명의 집사에 종속되어 있다/** * @author Incheol Jung */@Entity@Getter@Setter@NoArgsConstructorpublic class Own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