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QL
- jwt
- 테스트 코드
- select_type
- hashcode
- java
- 재정의
- AOP
- Spring
- Test
- DDL
- 필드 주입
- 바이너리 카운팅
- MSA
- 인덱스
- DI
- 생성자 주입
- KEVISS
- lambda
- jpa
- VUE
- cache
- docker
- static
- 조합
- equals
- StringBuilder
- 열 속성
- stream
- redis
- Today
- Total
백엔드 개발자 블로그
클라우드 컴퓨팅 본문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직접 서버를 구매하여 설치하고 구성하는 과정 대신 클라우드 컴퓨팅 공급자로부터 필요한 자원(서버, 스토리지, SW)을 할당받은 뒤 사용량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다.
웹 서비스를 배포하겠다고 이런 크고 아름다운 서버를 집에 둘 필요가 없다.
클라우드의 서비스 종류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자체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모델이다.
대표적인 서비스 : Dropbox, 네이버 클라우드, Google docs 등
PaaS(Platform as a Service)
사용자가 소프트웨어(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실행하는데 필요한 환경(미들웨어, OS, 프레임워크, DB 등 이미 세팅 됨)을 제공해주는 모델이다.
대표적인 서비스 : AWS(Amazon Web Services) EC2 등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버, 스토리지와 같은 가상공간의 서버 자원을 제공해주는 모델이다.
사용자가 몇 분 안에 서버를 만들어 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서버 용량을 손쉽게 증/감 시킬 수 있다.
사용한 용량을 기준으로 가격이 책정되기 때문에 상황에 따른 유기적 사용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대표적인 서비스 : AWS(Amazon Web Services), Google Cloud, MS Azure 등
Serverless
개발자가 서버를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는 아키텍처를 의미한다.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해서 자원 효율적, 경제적,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장점
1. 유연성
-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원하는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2. 안전성
- 서버를 직접 두고 사용하지 않으므로 우리 집에 불이 나건, 정전이 되건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 속도
- 복잡한 작업을 최소화하고 원하는 서비스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
4. 비용
- 앞에서 말했듯, 필요한 만큼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비용이 절감된다.
5. 보안
- 제공업체에서 전문적으로 서비스와 모델을 관리하기 때문에 믿을만하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큰 기반 인증 vs 서버 기반 인증 (0) | 2023.08.30 |
---|---|
렌더링 (0) | 2023.08.30 |
Scale-Up 과 Scale-Out (0) | 2023.08.30 |
Serverless란? (0) | 2023.08.30 |
REST API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