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wt
- lambda
- MSA
- equals
- 생성자 주입
- SQL
- StringBuilder
- docker
- 필드 주입
- 재정의
- 조합
- Test
- Spring
- java
- select_type
- VUE
- DDL
- stream
- hashcode
- 바이너리 카운팅
- AOP
- jpa
- 테스트 코드
- static
- 인덱스
- 열 속성
- KEVISS
- DI
- cache
- redis
- Today
- Total
목록전체 카테고리 (196)
백엔드 개발자 블로그
1. use-case 빈 svg 생성 디렉토리 생성 mkdir document 빈 파일 생성 fsutil file createnew document/use-case.svg 0 diagram.net에서 작성 2. UML(시퀀스 다이어그램) 작동 과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hozP/btsrR5tsijS/94zDAp93xjHuFAtEuHJJk1/img.png)
Docker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응용프로그램을 더 쉽게 만들고,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구 Docker를 사용하는 이유 서버마다 동일한 환경을 구성 -> 환경설정으로 인한 문제 해결 auto scaling에 유리 Docker vs 하이퍼 바이저(VM) 하이퍼 바이저 호스트 시스템에서 다수의 OS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 App 여러개 실행 가능 각 VM마다 독립적 Docker 경량화된 하이퍼 바이저 구조(VM+OS -> Container) App 하나에 error가 생겨도 전파 되지 않음(container 당 1개의 App을 실행해서) Container 어플리케이션 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손쉽게 배포 관리를 할 수 있게 해준다. Docker Image를 독립된 공간에서 실행..
2.1. Pod 역할 앱의 단일 인스턴스 생성 방법 설정파일(yaml) 작성 후 생성하기 설정파일(yaml) 작성`apiVersion: v1``kind: Pod``meetadata:`` ``name: {Pod이름}`` ``labels:`` ``app: {앱이름}`` ``type: {앱타입}` `spec:`` ``containers:`` ``- name: {컨테이너이름}`` ``image: {이미지이름}``:wq!` `vi {파일이름}.yaml` 설정파일을 토대로 Pod 생성 `kubectl create -f {파일이름}.yaml` 명령어로 간단하게 생성 및 설정하기 바로 Pod 생성하기 `kubectl run {Pod이름} --image={image이름}` 설정파일 작성 후 Pod 생성 `kubectl ..
1.1. Cluster Architecture 고가용성, 확장성, 자동 복구 기능 제공해서 사용 Kubernetes는 Master Node와 Worker Node로 구성되어 있음 Master Node ETCD : 클러스터의 구성 정보 저장 Kube-API Server : 클러스터에 대한 모든 조작 가능하게 하는 RESTful API 제공 Kube Controller Manager : Container를 관리하는 Controller(Pod, ReplicaSet, Deployment, 상태) 관리자 Kube Scheduler : Pod를 어느 노드에 배치할지 스케줄링 클러스터 제어 중심 노드 Worker Node 구성 Kubelet : 마스터의 명령에 따라 노드 상태 보고, 파드 실행 및 관리 : 장애 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