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pa
- docker
- MSA
- equals
- static
- hashcode
- Spring
- redis
- lambda
- 필드 주입
- DDL
- 생성자 주입
- select_type
- 재정의
- KEVISS
- java
- 바이너리 카운팅
- stream
- 열 속성
- cache
- AOP
- VUE
- 조합
- 테스트 코드
- Test
- StringBuilder
- DI
- jwt
- SQL
- 인덱스
- Today
- Total
목록전체 카테고리 (196)
백엔드 개발자 블로그
1. 컴퓨터 구조 알아야하는 이유컴퓨터의 성능, 용량, 비용이 때문에 2.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1.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데이터, 명령어 2.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중앙처리장치(CPU) :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 실행하는 부품 산술논리연산장치 : 계산기레지스터 :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장치제어장치 : 제어신호라는 전기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메모리(RAM,ROM) :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부품보조기억장치 : 메모리의 적은 용량과 휘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억장치입출력장치 :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부품 3. 시스템 버스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이 서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oRc9/btsIBd3F7Ci/PKBk3ZKrEZg5LOdEc6uitk/img.png)
성능 테스트성능 테스트란?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 안정성, 속도, 확장성 및 가용성이 유지되는지를 판별하는 과정애플리케이션 혹은 서비스가 충분한 성능 요건을 충족하는지병목 지점은 없는지 최대 트래픽에서 안정성에 이상이 없는지오랫동안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는지 (가용성)성능 테스트의 종류부하 테스트 (Load Test)일정 시간 동안 부하를 가하여 처리할 수 있는최대 TPS(Transaction Per Second)와 응답시간을 구하는 테스트1시간 정도의 부하를 가함내구성 테스트 (Endurance Test)긴 시간 동안 부하를 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점검하는 테스트8시간 이상 부하를 가함스트레스 테스트 (Stress Test)정상보다 더 많은 부하를 주는 테스트피크 트래픽의 2배 정도 부하를 가함스파이..
토스 기술블로그 글을 참고하여 정래한 글입니다. 1. Redis 과부하 문제1-1 Universal Data 문제Universal Data = 모든 유저가 동일하게 보이는 데이터Local Cache를 사용해서 서버 캐싱 부담 줄여주기Redis Pub/Sub기능을 사용해서 비동기식으로 Local Cahe 빠른 캐시 초기화가 가능 1-2 User-spcific Data 문제User-speific Data = 유저별로 다르게 보이는 데이터 데이터를 저장할 때 압축해서 저장하기 2. 동시성 제어RedLock 분산락으로 동시성 문제 방지 3. DB 과부하 방지3-1 Kafak 비동기처리3-2 Redis Increment 커맨드3-3 Redis 캐싱 활용4. 중복 API 요청4-1 연속 중복 API 제거4-2 자..
자바 트러블슈팅(scouter를 활용한 시스템 장애 진단 및 해결 노하우)를 챕터 1을 요약한 내용입니다.서비스 운영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개발자 실수로 인한 시스템 오류장비에 대한 이상 현상외부 환경에 요인에 의한 시스템 다운(정전현상, 랜선뽑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가용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을 경우서버 로그 확인서버 리소스 확인가용 데이터가 확보되어 있지 않을 경우개인의 경험이나 직감을 활용단순히 서버 재시작(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안되어 추후에 반복되는 오류 발생 가능성 증가) 어떤 종류의 문제점들이 있을까?시스템이 느려요 종류전체 시스템이 항상 느린 경우 : 장비를 기동했을 때부터 느린 경우나 WAS를 시작했을 때부터 느린 경우특정 기능(화면)이 느린 경우특정 시간대(기간)에만 느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