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I
- stream
- 재정의
- redis
- 바이너리 카운팅
- select_type
- SQL
- 인덱스
- lambda
- AOP
- cache
- jwt
- hashcode
- VUE
- DDL
- KEVISS
- MSA
- 열 속성
- equals
- Spring
- docker
- 조합
- 테스트 코드
- Test
- 필드 주입
- jpa
- StringBuilder
- static
- java
- 생성자 주입
- Today
- Total
목록Java (39)
백엔드 개발자 블로그
lambda와 closure에 대해서 알아보자https://codecondo.com/6-javascript-fundamentals-you-need-to-know/lambdas-and-closures/람다란 무엇인가?람다 표현식은 메서드로 전달할 수 있는 익명 함수를 단순화한 것이다.익명 : 보통의 메서드와 달리 이름이 없으므로 익명이라 표현한다.함수 : 람다는 메서드처럼 특정 클래스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함수라고 부른다.전달 : 람다 표현식을 메서드 인수로 전달하거나 변수로 저장할 수 있다.간경성 : 익명 클래스처럼 많은 자질구레한 코드를 구현할 필요가 없다.람다의 구성 요소(Apple a) -> a.getWeight() > 150파라미터 리스트화살표 : 파라미터 리스트와 바디를 구분한다.바디 : 람다의 ..
Optional에 대한 기능 설명과 예시를 설명해보자https://javadeveloperzone.com/java-8/java-8-new-feature-optional-class/Optional 등장 배경null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다.에러의 근원이다(NullPointerException)가독성이 떨어진다 : if문으로 null을 확인하는 과도한 체크 로직을 작성해야 한다.아무 의미가 없다 : 정적 형식 언어에서 값이 없음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다.자바 철학에 위배된다형식 시스템에 구멍을 만든다If문으로 null 처리하는 예시대부분의 프로그래머는 필요한 곳에 다양한 null 확인 코드를 추가해서 null 예외 문제를 해결하면 되긴한다.하지만, 코드의 구조가 엉망이 되고 가독성도 떨어진다..
STREAM에 대해서 알아보자스트림이란?스트림이란 데이터 처리 연산을 지원하도록 소스에서 추출된 연속된 요소로 정의할 수 있다.연속된 요소`컬렉션`과 마찬가지로 `스트림`은 특정 요소 형식으로 이루어진 연속된 값 집합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컬렉션의 주제는 `데이터`이고 스트림의 주제는 `계산`이다. 추후 이 차이에 대해 더 살펴보겠다.소스스트림은 `컬렉션`, `배열`, `I/O 자원` 등의 데이터 제공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소비(`consume`)한다.데이터 처리 연산스트림 연산은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로 실행할 수 있다.스트림 특징파이프라이닝연산 파이프라인은 `데이터 소스`에 적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질의`와 비슷하다.내부 반복반복자를 이용해서 명시적으로 반복하는 컬렉션과 달리 스트림은 `내부..
Lambda expressions람다란 무엇인가?람다 표현식은 메서드로 전달할 수 있는 익명 함수를 단순화한 것이다.익명 : 보통의 메서드와 달리 이름이 없으므로 익명이라 표현한다.함수 : 람다는 메서드처럼 특정 클래스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함수라고 부른다.전달 : 람다 표현식을 메서드 인수로 전달하거나 변수로 저장할 수 있다.간경성 : 익명 클래스처럼 많은 자질구레한 코드를 구현할 필요가 없다.람다의 구성 요소파라미터 리스트화살표 : 파라미터 리스트와 바디를 구분한다.바디 : 람다의 반환값에 해당하는 표현식형식 검사, 형식 추론, 제약람다 표현식 자체에는 람다가 어떤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람다 표현식을 더 제대로 이해하려면 람다의 실제 형식을 파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