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ache
- stream
- Test
- Exception
- select_type
- SQL
- lambda
- VUE
- 조합
- 열 속성
- java
- equals
- 필드 주입
- static
- hashcode
- MSA
- 생성자 주입
- redis
- docker
- 재정의
- 테스트 코드
- StringBuilder
- KEVISS
- 인덱스
- Spring
- DI
- jpa
- AOP
- jwt
- DDL
- Today
- Total
목록DB (13)
백엔드 개발자 블로그
Redis란? Remote Dictionary Server : 오픈 소스, 인 메모리 데이터 스토어 특징 In-memory DB 성능이 빠름 휘발성(AOF, RDB snapshot로 Disk로 백업 가능) Big Size Data에 적합하지 않음 key-value store 조회가 빠름 Single Thread 동시성 제어가 편함 멀티 쓰레드보다는 느림 다양한 Data Type 사용사례 Cache 빠른 조회를 위한 임시 저장소 Session Store 서버에 Session 저장 시 Scale out 했을 때 문제 발생 -> redis 공유 저장소로 문제 해결 Geospatial 위도 경도 데이터 저장해서 거리 비교 가능 Leader board(순위) Sorted Sets : Score로 자동 정렬 Pub..

정규화란? 하나의 릴레이션에 하나의 의미만 존재하도록 릴레이션을 분해하는 과정이며, 데이터의 일관성, 최소한의 데이터 중복, 최대한의 데이터 유연성을 위한 방법입니다. 정규화의 목적? 다양한 목적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불필요한 데이터 (data redundancy)를 제거해 불필요한 중복을 최소화한다. 하나의 테이블에 모든 정보를 다 넣게 된다면, 동일한 정보들이 불필요하게 중복되어 저장될 수 있습니다. 둘째, 삽입/갱신/삭제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이상 현상(Anomaly)을 방지하기 위해서, 테이블의 구성을 논리적이고 직관적으로 한다. 그 외에 DB 구조 확장 시 재디자인을 최소화, 다양한 관점에서의 query를 지원하기 위해서 등등의 목적이 있습니다. 정규화의 과정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