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열 속성
- 테스트 코드
- KEVISS
- 인덱스
- 바이너리 카운팅
- hashcode
- docker
- 재정의
- 생성자 주입
- lambda
- static
- cache
- jwt
- Spring
- StringBuilder
- DDL
- VUE
- select_type
- DI
- AOP
- jpa
- 조합
- 필드 주입
- SQL
- equals
- java
- redis
- Test
- MSA
- stream
- Today
- Total
백엔드 개발자 블로그
MacOS, Windows 유니코드 정규화 방식 차이로 인한 모음, 자음 분리 현상 본문
저처럼 맥OS(맥북, 아이맥, 아이패드 등)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윈도우에 파일을 보냈을 때 파일 이름의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는 현상을 겪은 분들을 위해 글을 작성해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xwyU0/btsr63uHcYi/9MBwCWiL4jTecK0NkNM0ZK/img.png)
오늘은 이런 파일 깨짐(자음모음 분리) 현상의 원인과 해결안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인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Windows OS와 MacOS 가 문자를 조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윈도우 : NFC 정규화 방식
- 맥OS : NFD 정규화 방식
- 윈도우는 자음 모음을 입력 했을 경우 하나의 소리 단위 코드로 처리,
예) ㅇ ㅜ ㅣ ㄴ → 윈(으로 최정 처리)
- 맥OS는 하나의 소리 단위로 입력 된 것을 각 자음 모음 코드로 처리
예) 맥 → ㅁ ㅐ ㄱ(으로 최종 처리)
각 OS별로 좋아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해결안
해결방법은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풀이 해보겠습니다.
1) 보내는 사람 입장
2) 받는 사람 입장
1) 보내는 사람 입장
보내는 사람이 맥OS 사용자, 받는 사람이 윈도우 사용자 일 경우를 가정합니다.
보내는 사람이 신경써서 보내준다면 파일이름의 자음모음분리 같은 한글파일 깨짐 현상은 일어나지 않겠죠..
원드라이브에 파일 저장
새로 생성 된 파일을 저장할 때 원드라이드 폴더에 저장해 보세요. 물론 동기화는 해야겠죠? 원드라이브에 저장한 파일을 첨부 파일에 저장하여 보내면 한글 파일 깨짐 현상을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원리는 정확히 파악 못했지만 제 경험상 해결책이 되었습니다.
케카(Keka) 압축 파일 첨부
![](https://blog.kakaocdn.net/dn/VnvlC/btsrZkELbkE/9aP51ATkZKybdarUwLnl31/img.png)
무료프로그램 케카
맥북에서 파일을 보낼 때 번거롭지만 케카로 파일을 압축하여 보내면 파일 깨짐 현상이 줄어듭니다.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전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케카로 압축한 파일은 파일명의 깨짐 현상 뿐만 아니라 파일 자체가 열 수 없도록 첨부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현상도 해결 해줍니다.
그 동안 경험상 케카 압축 후 첨부 하는 방식이 가장 확실한 해결책이라고 생각 됩니다. 하지만 받는 사람은 파일을 바로 열 수 없고 압축 된 파일을 풀어야 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죠.
2) 받는 사람 입장
보내는 사람이 맥OS 사용자, 받는 사람이 윈도우 사용자 일 경우를 가정합니다.
"보내는 사람"이 아무리 조심해도 급하게 파일을 보내게 되면 파일명 깨짐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파일이 한 개만 첨부되어 있다면 받는 사람이 직접 파일명을 수정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10개의 파일이 모두 자음모음이 분리되어 있다면요? 그런데 보낸 사람이 직장 상사라면? 파일 깨졌다고 제대로 보내라고 할까요? ㅎㅎ
"받는 사람"은 조용히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 응용프로그램 하나를 받아줍니다.
한글자소교정기 DOWN: https://namocom.tistory.com/630
개발자님 감사합니다.
한글자소교정기 사용법
위 블로그에서 "한글자소교정기"를 다운 받으시면
![](https://blog.kakaocdn.net/dn/bBicdY/btsrUtCgbSq/YgFol4pTTYgyWNXXkRrbMk/img.png)
실행 파일 하나만 있습니다.
실행하면
![](https://blog.kakaocdn.net/dn/cnPBwm/btsr60kqxpQ/03X4bl572KgR92SytNc6wk/img.png)
"자소 합치기2" 라는 프로그램이 실행 됩니다.
사용법도 매우 간단합니다.
찾아보기를 클릭하여 파일이 있는 폴더를 지정 후 검색 버튼을 눌러 자소합치기를 실행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3Frs/btsr0soXNtM/Lr8wA7z6t93vuWK4XMvPx0/img.png)
하지만!
여기에도 숨겨진 꿀팁이 있었으니..
"찾아보기"를 누르면 트리에서 폴더를 선택해야 하지만.
파일을 수정해야하는 폴더를 경로 란에 드래그엔드롭을 하면 바로 폴더 경로가 입력 됩니다.
아래 영상을 참고해 주세요~
해당 폴더를 드래그앤드롭하여 편하게 경로를 입력하세요
물론 이런 복잡한 과정 없이 바로 OS에 상관없이
파일 호환이 잘 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지만,
애플이 독자적인 CPU를 개발한다고 한 만큼,
앞으로 더더욱 맥OS와 윈도우OS 간 차이는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집니다.
지금은 보내는 사람 또는 받는 사람이 한 단계 작업을 더 해야 하지만
언젠간 이 조차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앱이 개발 되기를 바라보며
오늘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합니다.
'ETC > 트러블 슈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ere 절에 별칭을 재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2) | 2024.09.09 |
---|---|
조합 (0) | 2024.08.14 |
순차 스트림 vs 병렬 스트림 (1) | 2024.07.24 |
트러블 슈팅 목록 (0) | 2024.04.29 |
DI 방법으로 인한 Error (0) | 2023.12.15 |